1. 배터리 용량
현재까지 아이폰 12의 짐작하는 배터리 용량입니다.
1. 5.4 아이폰 12 - 2,227 mAh(A2471)
2. 6.1 아이폰 12 Max - 2,775 mAh(A2431)
3. 6.1 아이폰 12 Pro - 2,815 mAh(A2479)
4. 6.7 아이폰 12 Pro Max - 3,687 mAh(A2466)
2. 카메라 스펙
현재까지 알려진 카메라 스펙입니다.
1. 5.4인치 모델 = 듀얼렌즈
2. 6.1인치 모델 = 트리플 렌즈
3. Pro and max 모델 = 3개의 렌즈와 1개의 Lidr 센서
한 가지 추가적인 성능으로는 후면부의 카메라 중 초광각 렌즈에도 OIS, 즉 손떨림 방지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그뿐만 아니라 이번에 사용하게 될 센서 시프트 테크놀리지는 개별 렌즈에 적용이 가능해 이전 11프로와 다르게 모든 화각에서 손떨림 방지 효과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 용량 크기
이번 아이폰 12의 스토리지는 64GB 모델은 출시되지 않습니다.
128GB부터 최대 512GB까지의 3가지 용량별 제품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4.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LCD 패널을 버리고 OLED로 전환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삼성과 LG로부터 OLED 패널을 구매할 예정이라고 하며, LG의 경우 PRO 모델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에 공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말이 많던 화면 주사율은 유출된 프로토타입 이미지에서 고주사율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힌트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RO 라인업에 120Hz 주사율 지원이 가능한 게 아니냐는 의견들이 점점 힘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5. 지문 스캐너
지문 스캐너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삽입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며 이 부분은 최종적인 공개일이 되어봐야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네트워크 방식은 전 모델 5G를 채택할 것으로 보이는데 일부 변형 모델이 4G를 지원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 구성품에 충전기와 이어폰이 빠진다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현재는 이어폰만 제외된다는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이고 있으며, 이 역시 공개일에 확인을 해봐야겠지만 충전기까지 빠질 경우 불만을 제기하는 유저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애플이 방향을 급선회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6. 가격
가격에 관련한 내용에 있어서는 너무나 다양한 예측들이 많아서 저도 좀 헷갈리고 있는데요 이렇게 된 이유는 5G를 선택하면서부터입니다.
부품 공급 업체들이 제조 단가를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하기 위한 애플과 부품 업체 간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어서입니다.
현재까지 나온 내용을 정리해드리면
1. 아이폰 12 일반 모델 = 699~749달러(한국 돈 83만 원~)
2. 아이폰 12 MAX 모델 = 799~849달러(한국 돈 95만 원~)
3. 아이폰 12 Pro 모델 = 1049~1099달러(한국 돈 125만 원~)
4. 아이폰 12 Pro Max 모델 = 1149~1199달러(한국 돈 137만 원~)
환율 기준은 2020년 9/6일 기준으로 적었습니다.
7. 마치며
지금까지 아이폰 12에 관련된 정보들을 간단하게 정리해서 그나마 가장 현실적인 내용들 위주로 포스팅해봤는데요.
아직 출시된 건 아니기 때문에 100% 이렇게 나온다고 말씀 드릴 순 없겠지만 이중 상당 부분은 실제 제품에 적용될 것으로 보이고 있으니, 지금부터 미리 아이폰 12 존버 하시는 분들께서는 정보 확인하셔서 구매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핸드폰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대작 갤럭시S20FE 스펙 공개? (0) | 2020.09.21 |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 2 5G를 사야하는 이유, 사전예약안내 (0) | 2020.09.11 |
댓글